- Token ID 만료 웹훅은 프로젝트의 Token Expiration 설정이 활성화된 경우에만 발송됩니다.
- 토큰 만료는 사용 횟수 기반(count-based) 또는 시간 기반(time-based)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Token ID 종류와 만료 개념
사전등록 토큰 (Pre-registered Token)
고객 시스템이 사전에 Token ID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.- 1회 제출되면 즉시 만료(Expired) 처리됩니다.
- 명시적인 만료 개념이 존재합니다.
비등록 토큰 (Non-registered Token)
토큰 생성 없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.- 토큰 자체에 명시적 만료가 없습니다.
- 사용 시점 기준으로 이전 사용 여부 및 유효성을 검증합니다.
Token Expiration 설정 조건
웹훅 발송 여부는 프로젝트의 Token Expiration 설정 활성화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.- Count-based
- Time-based
사용 횟수 기반으로 토큰 만료를 관리합니다.예시: 1회 사용 후 만료
웹훅 예시
응답 필드
웹훅 트리거 유형 -
token_expired는 Token ID가 만료되었음을 의미만료된 Token ID
설정된 만료 검증 조건
count: 사용 횟수 기반 만료time: 시간 기반 만료
대상 서비스 -
idCheck (ID check 메인 파이프라인)만료된 시각 (ISO 8601 형식)
expired_condition이 count인 경우에만 포함됩니다. 토큰이 실제로 만료된 정확한 시각을 나타냅니다.만료 예정 시각 (ISO 8601 형식)
expired_condition이 time인 경우에만 포함됩니다. 토큰이 만료될 예정이었던 시각을 나타냅니다.사용 사례
Token ID 만료 웹훅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합니다:토큰 재사용 방지
토큰 재사용 방지
만료된 토큰을 감지하여 재사용 시도를 차단하고, 보안 이벤트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.
서비스 로직 추적
서비스 로직 추적
토큰의 수명 주기를 추적하여 사용자 플로우를 분석하고,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.
자동화된 토큰 관리
자동화된 토큰 관리
만료 이벤트를 기반으로 새로운 토큰을 자동 생성하거나,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.